설이나 추석이 되면 제사를 지낸다. 제사를 지낼 때 여러가지 준비해야 하는데 그 중 하나가 지방이다. 


하지만 지방쓰는게 익숙하지 않다. 요즘은 제사를 자주 지내는 가정이 적다. 그리고 젊은 층에겐 한자로 되어 있는 지방이 익숙하지 않다. 


물론 요즘은 인터넷에 지방쓰는법 이 잘 나와 있다. 지방쓰는법 을 다 알고 있을 필요는 없다. 그때 그때 찾아 쓰면 된다. 이런 사람들을 위해 이번에는 지방쓰는법에 대하여 살펴보자.


지방이란?


‘지방(紙榜)’은 차례상의 주인을 뜻하는 것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다. 만약 영정 사진이 있으면 사진을 올려 놓는다. 하지만 돌아가신지 오래 됐거나 사정상 사진 준비하는게 어려울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지방을 써서 차례상 위에 놓는다. 차례가 끝난 뒤에는 지방을 태우는 것이 우리나라의 제사 풍습이다.


지방의 재료


지방은 화선지나 한지를 사용하는게 원칙이다. 한지가 없는 경우에는 백지를 사용한다.


지방의 규격

지방의 크기는 가로6cm X 세로 22cm 로 한다.


문안을 작성할 때는 붓을 사용해서 한자로 쓰는게 좋다. 붓이 없다면 필기도구를 사용해서 한글로 작성해도 무방하다. 요즘에는 편의상 컴퓨터로 작성하여 인쇄하기도 한다. 



지방쓰는법


1. 지방의 규격은 폭이 6cm 정도 길이가 22cm 정도가 좋으며 주로 한지(창호지종류)를 사용한다.

2. 고위(考位..할아버지위)를 왼편에 쓰고 비위(妣位...할머니위)를 오른쪽에 쓴다. 한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분만 중앙에 쓴다.

3. 아내의 지방에는 顯(현)자를 故(고)자로 고쳐 쓰고 동생이하 비유(卑幼)에는 亡(망)자로 고쳐 쓴다.

4. 자식의 지방에 미혼시에는 수재(秀才)라 쓰고 기혼일 경우에는 학생(學生)이라 쓴다.

5. 생전에 벼슬을 했을 경우 學生(학생)대신 벼슬의 직급인 理事官 혹은 道知事 등의 직위를 쓴다.



지방쓰는법 HWP 파일


편의를 위해서 지방쓰는법 한글 파일을 공유 합니다. 직접 만드는 것도 어렵지 않습니다. 크기를 맞춰서 표를 만들었으니 위의 지방쓰는법 사진을 참고 해서 필요한 한자를 채워 넣으면 됩니다. 



지방쓰는 법.hwp


+ Recent posts